원전 안전검사 확대 2025년 원안위 계획 발표!
원자력 안전위원회의 새로운 업무 추진 방향
2025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목표 아래, 새로운 원자력 안전 업무 추진 방향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최근 새울 2호기에 시범 적용된 상시검사 제도를 기반으로 모든 원전으로의 확대 적용을 추진하며,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설계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심사체계도 완비할 계획입니다. 원안위는 사고 예방과 방사선 안전 강화를 위한 6개 핵심 과제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안전한 사회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원자력 안전성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질 것입니다.
원자력 시설 규제 시스템 혁신
원자력 안전위원회는 새울 2호기에서 시행 중인 상시검사 제도를 모든 원전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들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상시검사는 원전이 정지된 기간에만 이루어지던 정기검사를 운전 중에도 실시하여 연중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검사 기간을 보다 넉넉하게 확보하고, 안전성을 더욱 면밀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올해에는 심층검사 절차를 포함하여 이상징후 발견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 안전 중요도가 높은 기기에 대한 검사를 집중하여 사업자의 책임 강화를 도모합니다.
- 위험도 정보를 활용한 규제를 도입하여 안전성을 효율적으로 확인할 것입니다.
- 해외 사례를 면밀히 검토하여 국내 규제 환경에 적합한 방안을 제시할 것입니다.
미래 원자로와 규제 협력
원안위는 원전산업 수출 지원을 위해 체코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AP1000 표준설계인가의 안전성 심사를 시작하여 체코 원자력안전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안전성 검증을 위해 개발 중인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의 심사체계를 완비할 예정입니다. 특히 SMR의 경우, 새로운 설계 기준과 기술이 필요하여 규제체계 구축에 심혈을 기울이겠습니다.
원자력 사고 대비 체계 고도화
APR1400 원전의 사고관리계획서가 승인됨에 따라, 종합적 사고관리 체계를 마련하였습니다. 초기 사건부터 중대사고 예방과 완화까지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 또한 새로운 테러 및 해킹 위협에 대한 대응 방안도 마련하고 있습니다. 방호체계 구축을 위해 모든 초기 단계에서 방호 요건을 반영할 계획입니다.
국민 보호 안전망 강화
주민 방사선 영향 건강영향조사 시작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감시 체계 확립 | 방사선 사용 기관 점검 체계 강화 |
원안위는 원전 주변 지역 주민들의 방사선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통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또한 주민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안전 정보를 빈틈없이 공유할 것입니다.
소통 및 정보 공유 체계 혁신
원안위는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원자력안전협의회를 중심으로 주민과의 소통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겠습니다. 또한 광역권 현장지휘센터를 통해 안전 정보를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감시 체계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이 안전하게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과학기술 기반의 규제체계 강화
원안위는 과학기술에 기반하여 규제체계를 한 단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모든 원전 규제는 최신 기술과 정보에 의해 평가될 것입니다. 최원호 위원장은 "원전사고 및 방사선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사회 구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안전한 원자력 사회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안전관리를 위한 향후 계획
향후 원안위는 계속해서 국민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안전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위험도 정보를 활용한 규제 강화와 심사체계 구축이 주된 목표입니다. 또한 선제적인 안전 관리를 통해 원자력 사고를 예방하고, 국민과 환경을 긴밀히 보호하는 체계를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