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증가 문체부 7조 672억 원 확정!
2025년도 문화체육관광부 예산 개요
2025년도 문체부 예산은 총 7조 672억 원으로 확정되었으며, 이는 올해 본예산 보다 1127억 원 증가한 수치입니다. 문체부는 이번 예산을 통해 문화와 체육, 그리고 관광 분야의 발전을 도모하고, 국민의 일상 속 행복한 문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방향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이 예산은 '글로벌 문화 강국' 실현을 위한 기초체력을 확보하고, 문화산업의 경쟁력 증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유인촌 장관은 이러한 예산을 통해 모든 국민이 문화와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하였습니다.
부문별 예산 편성 현황
문화예술 부문은 총 2조 3842억 원이 편성되어 부문별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문화예술 부문에서는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과 통합문화이용권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증가폭인 0.7%를 기록하였습니다.
-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 신규 편성 400억 원
- 통합문화이용권: 2636억 원 (239억 원 증가)
- 청년예술단 운영: 신규 편성 49억 원
콘텐츠 부문 예산 강화
콘텐츠 부문에서는 1조 2715억 원의 예산이 편성되어, 해외 진출 및 한류 관련 지원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특히, 만화 및 웹툰의 해외 진출을 위해 135억 원이 배정되었으며, 신규로 편성된 글로벌 리그 펀드와 중예산 영화 제작 지원이 눈에 띄는 변화입니다.
체육 부문 및 지원 프로그램
체육 부문은 총 1조 6739억 원으로, 3.5%의 증가율을 보이며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취약계층 스포츠강좌 이용권, 국가대표 훈련 지원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민들의 건강과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자원의 배분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관광 부문 및 새로운 지원 방안
관광사업체 융자지원 | 남부권 광역관광개발 | 타겟 마케팅 활성화 |
5865억 원 (+500억 원) | 788억 원 (+510억 원) | 36억 원 (신규) |
관광 부문은 1조 3477억 원이 편성되어, 2.4% 증가율을 나타냈으며, 자전거 및 크루즈 지역 테마 관광 활성화를 통해 국내 관광업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관광 서비스 업체들의 해외 마케팅 및 홍보를 지원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산 활용의 중요성
2025년도 문체부 예산은 국민의 문화 향유를 위한 중요한 재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이 예산이 효율적으로 집행될 경우, 한국의 문화 역량이 극대화되고, 더욱 다양한 문화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습니다. 문체부는 이번 예산을 통해 '글로벌 문화강국'의 위상을 재확립할 계획이며, 국민의 문화적 감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결론 및 향후 계획
문화체육관광부는 향후 이 예산을 기반으로 문화 산업의 혁신을 이루고, 다양한 방면에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입니다. 김유진 부장은 이와 관련하여 적극적인 feedback과 국가적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높이며, 다른 부처와의 협력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